본문 바로가기
영화이야기/좀비 & 뱀파이어 외

[반 헬싱]영화리뷰

by 투림파파 2025. 6. 12.
반응형

반 헬싱 [출처 : 네이버]

 

 

영화 [반 헬싱] 는 19세기 후반, 미스터리한 괴물 사냥꾼 반 헬싱은 바티칸의 비밀 임무를 받아 악의 근원으로 가득한 트란실바니아로 파견된다. 그의 임무는 전설적인 드라큘라 백작을 쓰러뜨리고, 발레리우스 가문의 마지막 후손 안나를 돕는 것이다. 하지만 드라큘라의 실체는 단순한 뱀파이어가 아닌, 과학과 어둠의 마법을 이용해 생명 창조를 꿈꾸는 존재였고, 그의 야망은 세계 전체를 위협한다.

 

 

🎬 영화 정보

  • 제목: 반 헬싱 (Van Helsing)
  • 감독: 스티븐 소머스 (Stephen Sommers)
  • 각본: 스티븐 소머스
  • 제작: 스티븐 소머스, 밥 더커, 알렉스 커츠먼 외
  • 제작사: 유니버설 픽처스 (Universal Pictures)
  • 개봉일: 2004년 5월 7일 (미국)
  • 러닝타임: 131분
  • 국가: 미국
  • 언어: 영어
  • 제작비: 약 1억 6천만 달러
  • 흥행 수익: 전 세계 약 3억 달러

 

 

 

1장: 파리에서의 전투

 

1-1  지킬과 하이드, 그리고 사냥꾼의 자격

 

영화는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지붕 위에서 괴물 하이드와 싸우는 반 헬싱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그는 하이드를 처치하지만 도심 파괴로 인해 시민들로부터 비난을 받는다. 이후 그는 로마로 돌아가고, 교황청의 비밀 조직으로부터 새로운 임무를 부여받는다. 임무지는 트란실바니아. 그는 조수인 수도사 카를과 함께 출발한다.


 

 

2장: 트란실바니아의 저주

 

2-1  뱀파이어가 지배하는 마을

 

트란실바니아에 도착한 헬싱은 발레리우스 가문의 마지막 후손인 안나와 조우한다. 마을은 이미 드라큘라의 세 아내, 알레이라·베로나·말레나에 의해 지배당하고 있었고, 주민들은 공포에 떨고 있다. 헬싱과 안나는 이들을 상대하면서 드라큘라가 과거 프랑켄슈타인의 실험을 이용해 생명을 창조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음을 알게 된다.

 


 

 

3장: 생명의 비밀

 

3-1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생존하다

 

드라큘라는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통해 자신의 자식, 즉 알 수 없는 알 속 생명체들을 탄생시키려 한다. 그는 전기를 활용한 생명 부여 장치를 갖고 있었고, 그 동력은 괴물의 유전자에 기반한 생체 에너지였다. 반면 헬싱은 숨어 지내던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찾아내고, 그가 인간적인 감정을 지닌 존재임을 알게 된다. 괴물은 드라큘라에게 이용당하는 것을 거부하며 헬싱에게 협력한다.


 

 

4장: 늑대인간의 비밀

 

4-1  형제의 비극과 뱀파이어의 약점

 

안나의 오빠 벨칸은 드라큘라에 의해 늑대인간이 되었고, 동생을 인식하지 못한 채 헬싱과 싸운다. 결국 헬싱은 벨칸을 죽이게 되고, 안나는 슬픔을 삼킨 채 드라큘라와의 최종 결전을 준비한다. 중요한 정보가 밝혀진다. 드라큘라는 일반적인 무기로 죽일 수 없지만, 오직 늑대인간만이 그를 죽일 수 있는 유일한 존재라는 사실이다. 이로써 헬싱은 필사적으로 늑대인간의 피를 자신의 무기로 삼으려 한다.


 

 

5장: 운명의 결전

 

5-1  늑대인간 대 드라큘라, 최후의 전투

 

헬싱은 결국 늑대인간으로 변신하게 되고, 괴물들과 함께 드라큘라의 성에 침투한다. 수천 개의 알이 부화 직전이었고, 괴물은 자신의 몸이 생명 에너지의 도구로 쓰이는 걸 거부한다. 치열한 전투 끝에 헬싱은 드라큘라를 늑대의 이빨로 물어 죽이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늑대인간으로서의 본능에 휘말려 안나를 실수로 죽이게 된다. 전투는 끝났지만, 희생은 컸다.

 


 

 

결말: 헬싱의 속죄

 

죽음의 대가, 그리고 평온한 하늘 아래

 

드라큘라가 사라지며 성은 무너지고, 괴물은 인간의 방식으로 자유를 찾는다. 헬싱은 죽은 안나의 시신을 장례하고 하늘로 떠나는 그녀의 영혼을 바라본다. 구름 사이로 비치는 햇빛 아래, 안나는 가족과 함께 평화롭게 미소 짓는다. 헬싱은 더 이상 자신이 괴물인지 인간인지 구분하지 못하지만, 또 하나의 악을 처단한 자로서 조용히 떠난다.

 

반응형